"개인용 컴퓨터나 인터넷의 첫 등장만큼 중요하다"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이렇게 표현했는데요, <br /> <br />요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, 챗 GPT가 등장하자마자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이폰 이후 가장 큰 혁명이라며, 글로벌 기술 전문가들이 입을 모으고 있는 챗GPT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, 여러분 챗봇이라고 들어보셨을 겁니다. <br /> <br />여러 고객센터나 은행에서 채팅을 통해 업무시간 등을 물어보면 자동으로 응답해주는 서비스,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. <br /> <br />미국 기업 '오픈AI'에서 출시한 '챗GPT'는 챗봇에 AI를 접목해 기존보다 훨씬 진화된 검색 엔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 <br /> <br />바둑 AI, 알파고와 작동 원리가 비슷한데요. <br /> <br />알파고가 사람의 대국을 데이터로 여러 바둑의 수를 스스로 학습했다면, 챗GPT는 인터넷에서 얻은 수많은 사람들의 각종 질문과 답변, 문장들을 수집하고, 스스로 익히는 강화 학습을 거듭합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내기도 하죠. <br /> <br />이렇게 강화 학습을 거듭한 챗GPT는 사람에 버금가는 정교한 대화능력을 구사합니다. <br /> <br />사람처럼 시를 짓기도 하고, 코딩과 작곡 등 창작 능력도 상당한데요. <br /> <br />프로그램 개발 영역만 본다면 막 학부를 졸업한 개발자보다 뛰어난 수준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혁신을 마주하다 보니 학계와 산업계도 분주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챗GPT가 학술지를 참조해 만든 논문 초본이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모두 통과하고, 전문가마저 속을 정도로 정교해진 데다, 최근엔 미국 로스쿨과 의사면허 시험도 통과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죠. <br /> <br />우려되는 부분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들이 챗GPT를 베껴 숙제를 하는 일까지 벌어지자 일부 학교에서는 아예 챗GPT 접속을 차단하고, 직접 손으로 쓴 논문과 구술시험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계는 더 빠르게 충격파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검색시장에서는 챗GPT의 등장으로 구글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다급해진 구글도 '적색경보'를 발령하고, 대응 방안들을 논의하는 한편, 챗GPT 개발사, '오픈AI'에 꾸준히 투자했던 마이크로소프트는 구글을 누르고 검색 주도권을 잡기 위한 반전을 노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2023년은 AI를 둘러싼 거대 기업들 간의 주도권 경쟁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20617205042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